기사상세페이지

죽산전씨(竹山全氏) 충경공파(忠敬公派)

기사입력 2021.04.30 20:26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1) 전씨(全氏)의 시원(始源)
    ① 우리나라 전씨(全氏)의 도시조(都始祖)는 백제 건국초의 십제개국공신(十濟開國功臣) 중의 한 분인 환성군(歡城君) 전섭(全攝)이다.
    ② 고구려 동명왕(東明王) 주몽(朱蒙) 사후에 이복형인 유리(琉璃)가 왕위를 계승하자 이복동생인 비류(沸流)와 온조(溫祚)는 신변에 위협을 느껴 전섭(全攝), 오간(烏干), 마려(馬黎), 을음(乙音), 해루(解婁), 흘우(屹于), 곽충(郭忠), 한세기(韓世奇) 등 열사람과 함께 남하(南下)하여 고구려 유리왕 2년 즉 기원전 18년에 하남위례성(河南慰禮城)에서 열사람의 건의로 도읍지를 정하고 10명의 신하가 도와주어 국가를 세웠다는 뜻으로 국호(國號)를 ‘십제(十濟)’로 하였다가 후에 백제(百濟)로 개칭(改稱)하였다.
    ③ 온조왕(溫祚王)을 도와 십제국(十濟國)을 건국하는데 공훈을 세운 열 분을 ‘십제개국공신(十濟開國功臣)’으로 책록하였고 전섭(全攝)을 ‘환성군(歡城君)’으로 봉군(封君)하였다.
    ④ 전씨는 18관(貫)으로 분적(分籍)되었으나 같은 혈족임을 인식하고 1924년 갑자대동보(甲子大同譜)를 간행한데 이어 1966년 병오대동보(丙午大同譜)를 간행하여 범전씨(汎全氏)의 기틀을 더욱 다졌다.
    (2) 죽산전씨(竹山全氏) 시조(始祖) 전한(全僩)
    전한(全僩)은 고려(高麗) 개국공신(開國功臣)으로 정선군(旌善君)에 봉해진 전이갑(全以甲)의 13세손으로 고종 때 밀직부사(密直副使)가 되었고 고종 18년(1231년) 몽고군이 침입했을 때 조숙창(趙叔昌) 장군과 함께 성신진(成新鎭)을 방어하는 등 전공을 세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策錄)되고 죽산군(竹山君)에 봉해져 자손들이 죽산(竹山)으로 관향을 삼게 되었다. 생졸년(生卒年) 미상(未詳)이다.
    (3) 분파(分派)
    죽산전씨는 도천파(道泉派), 원담파(原潭派), 원천파(原泉派), 낙천파(樂泉派), 원계파(原溪派), 야계파(倻溪派), 용계파(龍溪派), 송계파(松溪派), 지평공파(持平公派), 충경공파(忠敬公派), 익산교수파(益山敎授派) 등 11개파로 분파(分派)되었다.
    (4) 죽산전씨(竹山全氏) 관내 세거(世居) 현황
    ①『2000년 인구주택총조사 성씨 및 본관보고서』에 의하면 고령군 관내에 죽산전씨(竹山全氏)는 33가구 77명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② 죽산전씨(竹山全氏) 충경공파(忠敬公派) 후손들은 운수면 신간리를 중심으로 세거하고 있다.

    2. 현조(顯祖)
    (1) 고려시대
    ① 전학기(全學基)
    시조 전한(全僩)의 아들로 태어나 고려 고종 때 감무(監務)를 지냈다. 생졸년(生卒年) 미상(未詳)이다.
    ② 전득무(全得武)
    감무(監務) 학기(學基)의 차남으로 태어나 강릉사록부사(江陵司祿府使)를 지냈다. 생졸년(生卒年) 미상(未詳)이다.
    ③ 전응견(全應堅)
    참봉(參奉) 득문(得文)의 아들로 태어나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상장군(上將軍)을 지냈다. 생졸년(生卒年) 미상(未詳)이다.
    ④ 전공취(全公就)
    상장군(上將軍) 응견(應堅)의 아들로 태어났다.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추밀부사(樞密副使)·공부상서(工部尙書)·상장군(上將軍)을 지냈다. 우왕 10년(1384년) 김경(金庚), 홍상재(洪尙載)와 더불어 명나라에 세공사(歲貢使)로 갔다가 명나라 태조의 세공(歲貢) 불만으로 유배를 당하였다. 생졸년(生卒年) 미상(未詳)이다.
    ⑤ 전충수(全忠秀)
    봉직랑(奉直郞) 지금주사(知錦州事) 신좌(臣佐)의 아들로 태어났다. 공양왕 때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역임했다. 이성계(李成桂)가 조선(朝鮮)을 개국(開國)할 때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忠節)로 두문동(杜門洞)에서 거창(居昌) 박유산(朴儒山) 인곡(茵谷)으로 은거(隱居)한 박유(朴儒) 선생의 높은 절개(節槪)를 추모(追慕)하였다. 태조가 여러 차례 불렀으나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았다. 생졸년(生卒年) 미상(未詳)이다.
    (2) 조선시대
    ① 전위이(全葳二)
    판도판서(版圖判書) 충수(忠秀)의 장남으로 태어나 의식(儀式)·의장(儀仗)에 필요한 물건과 무구류(武具類)를 관장하였던 위위시(衛尉寺)의 판위위사(判衛衛事) 벼슬을 지냈다. 생졸년(生卒年) 미상(未詳)이다.
    ② 전치화(全致和)
    판도판서(版圖判書) 충수(忠秀)의 차남으로 태어나 무관직인 별장(別將)과 감역(監役)을 지냈다. 생졸년(生卒年) 미상(未詳)이다.
    ③ 전오이(全伍二)
    판도판서(版圖判書) 충수(忠秀)의 삼남으로 태어나 태종 때 군수품의 저장과 출납에 관한 일을 관장하였던 군자감(軍資監)의 사정(司正)을 지냈다.  생졸년(生卒年) 미상(未詳)이다.
    ④ 전경윤(全敬倫)
     군자감(軍資監) 사정(司正) 오이(伍二)와 숙인(淑人) 창녕조씨(昌寧曺氏)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유일(遺逸)로 승훈랑(承訓郞)에 제수되고 광양훈도(光陽訓導)를 지냈다. 성종 11년(1480년)경 박유산 인곡(茵谷)으로부터 원천리(原泉里)에 이주(移住)하여 마을을 개척하고 양몽재(養蒙齋)를 창건하고 후진을 양성하였다. 1480년경 당시 훈도였던 전경륜(全敬倫)이 심었던 거창군 가조면 장기리 680-2번지 소재 느티나무는 경상남도 기념물 제197호로 지정되어 있다.
    (註釋) 유일(遺逸)
    학식과 덕망이 높아 과거를 거치지 않고도 높은 관직에 임명될 수 있었던 제도를 말한다.
    3. 고령(高靈) 입향(入鄕)
    가선대부(嘉善大夫)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로 추증(追贈)되었던 전윤(全倫)이 세조 1년(1456년) 귀양살이하였던 성주에서 고령군 운수면 신간리(新間里)에 입향하였다.
    4. 입향조 이후 역대 주요인물
    (1)조선시대
    ① 전윤(全倫)
    자는 명오(明五)이고 호는 경모(敬慕)이다. 군자사정(軍資司正) 오이(伍二)와 창녕조씨(昌寧曺氏) 사이에서 태종 6년(1406년) 태어났다. 공(公)은 박유(朴儒) 선생의 높은 절개(節槪)를 추모(追慕)하였던 전충수(全忠秀)의 손자이다. 성균관(成均館) 직강(直講 : 정5품) 재임시 단종이 폐위됨에 따라 수양대군에게 “어찌 주공(周公)의 어짐을 본받지 못하고 관숙(管叔)의 잘못를 따르리오”라고 직간(直諫)과 극언(極言)을 하다가 세조 1년(1456년) 성주로 유배되었다가 세조 12년(1467년) 졸(卒)하였다. 성종 21년(1490년) 직첩을 돌려받았다. 선조 때 경상우도병마절도사(慶尙右道兵馬節度使)를 지낸 정기룡(鄭起龍)의 계청(啓請 : 임금께 아룀)으로 신원(身元)이 회복(回復)되었으며 가선대부(嘉善大夫)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로 추증(追贈)되었다. 죽산전씨(竹山全氏) 고령입향조이다.
    ② 전석흥(全錫興)
    자는 문부(文夫)이고 처사(處士) 유집(由集)과 상화(尙和)의 따님인 동래정씨(東萊鄭氏) 사이에서 세조 13년(1468년) 태어났다. 성종 때 진사(進士)에 입격(入格)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성주읍지(星州邑誌)에 기록되어 있다. 중종 25년(1530년) 졸(卒)하였다.
    ③ 전희경(全希慶)
    초휘(初諱)는 희원(希元)이고 자는 익중(益仲)이다. 진사(進士) 석흥(錫興)과 기형(祺亨)의 따님인 의성김씨(義城金氏) 사이에서 중종 19년(1524년) 태어났다. 문장과 재질(才質)이 보통 사람보다 뛰어나게 달랐다. 20세에 한강(寒岡) 선생에게 수업을 받아 문인이 되었다. 선조 23년(1590년) 졸(卒)하였다.
    ④ 전극창(全克昌)
    자는 방언(邦彦)이다. 아버지 인(璘)과 경유(景裕)의 따님인 성산배씨(星山裵氏)사이에서 선조 2년(1569년) 장남으로 태어났다. 체격과 국량(局量)이 건전하고 지모(智謀)와 도략(鞱略)이 출중(出衆)하였다. 임진왜란을 당하여 벼슬이 없는 선비로 의병을 일으켜 공훈을 세우자 선조 33년(1600년) 경상우도병마절도사(慶尙右道兵馬節度使) 정기룡(鄭起龍)이 선조에게 공의 전공을 아뢰자 특별히 교지(敎旨)를 내려 영세(永世)토록 미치게 하였다. 한강(寒岡) 정구(鄭逑) 선생이 신병(身病) 치료차 제자들과 함께 동래(東萊) 온천(溫泉)을 다녀온 46일간의 기록인『한강선생봉산욕행록(寒岡先生蓬山浴行錄)』에 의하면 “광해군 9년(1617년) 9월 3일 귀로(歸路)인 하양(河陽)에서 문인(門人)들과 함께 한강(寒岡) 정구(鄭逑) 선생을 맞이하였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어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임을 알 수 있다. 광해 13년(1621년) 무과에 급제하여 훈련원(訓練院) 봉사(奉事)에 제수(除授)되어 조정에서 사람을 얻었음을 축하하였다. 인조 5년(1627년)에 발생한 정묘호란(丁卯胡亂) 때에 북쪽 변두리에 급보(急報)가 있자 공은 의병을 일으켜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겸 영변부사(寧邊府使)를 겸해 국경 방어의 임무를 맡고 있던 남이흥(南以興)과 더불어 안주성(安州城)에 나가 후금(後金)군을 맞아 힘껏 싸우다가 화살이 다하자 적을 꾸짖으며 굴하지 않다가 전사(戰死)하였다. 안주성(安州城) 함락시 공(公)이 역전순절(力戰殉節)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조정에서는 자헌대부(資憲大夫) 호조판서(戶曹判書)를 추증(追贈)하고 충경(忠敬)이라는 시호(諡號)를 받았다. 안주(安州)의 충민사(忠愍祠)에 남이흥(南以興)과 함께 배향(配享)되었다.
    (註釋1) 도략(鞱略)
    육도삼략(六韜三略)과 같은 말로 중국의 오래된 병서(兵書)를 가르킨다.
    (註釋2) 역전순절(力戰殉節)
    힘을 다하여 싸우다가 충절(忠節)을 위하여 목숨을 버림을 뜻한다.
    ⑤ 전주국(全柱國)
    자는 이지(二之)이고 호는 경모(敬慕)이다. 처사(處士) 이헌(以憲)과 통정대부(通政大夫) 진보(進寶)의 따님인 밀양박씨(密陽朴氏) 사이에서 숙종 18년(1692년) 장남으로 태어났다. 공(公)의 충효(忠孝)와 의행(懿行 : 좋은 행실)이 도내에 널리 알려져 숙종 37년(1711년) 특별히 임금이 내리는 명령으로 강릉참봉(康陵參奉)의 벼슬을 지냈고 또한 복호(復戶) 3결(三結)의 은전(恩典)을 받았다. 이러한 사적은 성주읍지에 기록되어 있다. 영조 1년(1725년) 졸(卒)하였다.
    (註釋) 3결(結)의 은전(恩典)
    1만㎡인 1㏊를 1결로 계산하면 3결은 3만㎡이므로 9,075평에 해당하는 농토에 대하여 세금을 면제받는 특별한 혜택을 나라로부터 받았다.
    ⑥ 전윤국(全允國)
    자는 삼지(三之)이고 호는 영모(永慕)이다. 처사(處士) 이헌(以憲)과 통정대부(通政大夫) 진보(進寶)의 따님인 밀양박씨(密陽朴氏) 사이에서 숙종 20년(1694년) 차남으로 태어났다. 문장(文章)으로 명성을 세상에 드날렸다. 형 경모공(敬慕公)과 함께 어버이를 섬김에 효도(孝道)로써 하고 형제간 우애가 돈독하였다. 영조 4년(1728년) 졸(卒)하였다.
    ⑦ 전성진(全聖震)
    자는 화진(華震)이고 호는 절재(節齋)이다. 처사(處士) 이덕(爾德)과 면량(勉良)의 따님인 파평윤씨(坡平尹氏) 사이에서 영조 49년(1773년) 태어났다. 성리학(性理學)의 근원을 깊이 연구하고 갈고 닦아 뭇사람의 존경을 받는 이름난 유학자로 불리어졌다. 은둔하여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았고 학문을 닦았던 서당에서 졸(卒)하였다. 졸년(卒年) 미상(未詳)이다.
    ⑧ 전준우(全俊祐)
    자는 준겸(俊謙)이요 호는 백강(栢岡)이다. 처사(處士) 성진(聖震)과 기계유씨(杞溪兪氏) 사이에서 숙종 21년(1695년) 태어나 백부 성욱(聖旭)에게 양자를 갔다. 문장(文章), 도덕(道德), 행의(行誼)가 뛰어나 사람들이 군자(君子)라고 칭송하였다. 영조 19년(1743년) 졸(卒)하였다.
    ⑨ 전상학(全相鶴)
    자는 재문(在文)이고 호는 봉산재(鳳山齋)이다. 처사 재만(在萬)과 헌형(憲炯)의 따님인 은진송씨(恩津宋氏) 사이에서 고종 9년(1872년) 태어났다. 만구(晩求) 이종기(李種杞)를 찾아가 속수지례(束脩之禮)를 올리고 수학(受學)하였으며 애제자(愛弟子)가 되었다. 성리학(性理學)에 침잠(沈潛)하여 깊고 오묘한 뜻을 연구하면서 학문에 힘썼으나 불행하게도 향년 31세의 일기로 광무 2년(1902년) 요절(夭折)하였다.
    (註釋) 속수지례(束脩之禮)
    묶은 육포의 예절이라는 말로, 스승을 처음 만나 가르침을 청할 때 작은 선물을 함으로써 예절을 갖춘다는 뜻이다.
    (2) 근∙현대 인물
    ① 전진권(全鎭權) : 대구상수도본부 시설부장, 부이사관
    ② 전용찬(全容燦) : 서울지방경찰청 교무과장, 화천경찰서장, 인재원 운영지원 과장, 서울 경무과(치안지도관)
    ③ 전보애(全寶愛) : 행정고시 합격, 교육부 교육국제화사무과 사무관
    ④ 전종건(全鍾乾) : 행정고시 합격, 국무조정실 사무관
     
    자료제공 : 죽산전씨 충경공파
    전종친회장 전명수(全明壽)
    집필 : 향토사학자 이동훈(李東勳)
    정리 : 편집국장 최종동(崔鍾東)

    죽산전씨 경모재 신간1길60-1.JPG

    죽산전씨 경모재(운수면 신간1길 60-1)

    backward top home